중도의 완성에서는 상대적인 관계(지혜와 무지, 유와 무, 상과 단)가 생기기 전의 절대적인 단계(마하 반야)를 의미하기 위하여 지혜를 부정하는 무지(無智)로 해석된다.
'무지(無智)'는 수행하여 얻은 지혜도 없고, '역무득(亦無得)'은 지혜로 얻은 해탈 혹은 열반도 없다.
천태종(天台宗)에서는 중도의 완성을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
「원교란 것은 중도를 나타내니 양변을 막음이다.
마음이 이미 맑고 깨끗해지면 양변을 모두 막고 바르게 중도에 들면 두 법을 다 비춘다.
圓敎者 此顯中道 遮於二邊心旣明淨 雙遮二邊 正入中道 雙照二諦」
위의 말씀은 천태종(天台宗) 삼조(三祖)이신 지자(智者)대사의 말씀이다.
양변이란 물질적 현상세계의 상대적 차별세계이다.
두 극단의 모순된 견해를 모두 막고 모두 버려야 하는데, 이 양변을 모두 버리면 곧 양쪽 세계가 모두 비추어져 이를 '쌍조이제(雙照二諦)'라 하였다.
화엄경의 중도는 신라 의상(義湘) 스님의 법성게의 마지막 구절에 있다.
환상이 아닌 실제(實際) 중도의 자리에 마침내 앉으니,
예로부터 변동 없는 자리를 부처라고 하였구나.
궁좌실제중도상 구래부동명위불
窮坐實際中道床 舊來不動名爲佛
실제로 중도실상의 상위에 앉아보니 바로 그 자리가 부처의 자리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는 의미이다.
있음과 없음을 보지 않음이 곧 부처님의 참 모습을 봄이다.
마음이 이미 두 변에 없는데 어찌 가운데 또한 있겠는가
단지 이와 같이 깨달으면 곧 이름하여 중도(中道)이며,
진실로 도(道)를 구하는 것이다.
心旣無二邊 中亦何有哉 但得如是者 卽名中道 眞如求道
만약 열반이 있다고 한다면, 그것은 곧 법집(法執)이 남아있음이다.
만약 보리(菩提깨달음)에 집착한다면, 곧 인집(人執)을 다 끊지 못한 것이다.
모든 부처님은 그 법안(法眼)이 청정하여 체(體)를 보되 상(相)을 보지 않으며, 보살의 법안은 아직 밝지 못한 까닭에 상(相)을 보되 체(體)를 보지 못한다.
이제 「무지역무득 (無智亦無得)」이라고 한 것은 이집(二執)을 둘 다 파(破)하고, 이공(二空)을 둘 다 증(證)함을 말한다.
보리(菩提깨달음)의 성(性)은 고요하나 곧 인집(人執)을 버린 것이요,
열반의 체(體)는 한결같음을 알았으니, 곧 법집(法執)을 없앤 것이다.
'나' 아니면 안된다는 인집(人執)이나, 열반이라는 영역이 있다고 생각하는 법집(法執)과 같은 양변에 집착되는 치우친 견해를 모두 여의면 심청정(心淸淨)이 되고, 심청정에서는 양변이 서로 융합하여 다른 수승(殊勝)된 차원이 중도로서 드러난다.
이 중도에서 심광명(心光明)인 자발광(自發光)이 샘솟는다.
이것을 진공(眞空)에 묘유(妙有)함이 있다고 했듯이, 『금강경』에서 '응무소주이생기심(應無所住而生其心)'이라고 했듯이 대자유를 향유한다고 하는 것이다.
이 자유는 「나」의 반야지혜로서 활물(活物)의 능력이요, 창조력이며, 열반에 이를 수 있는 힘이다.
그러나 이것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또 다시 <참나와의 만남>에서 '상대성 원리'를 읽어보시라.
삼세제불은 반야바라밀다에 의지해서 깨달음을 얻었다
이무소득고(以無所得故)
보리살타 의반야바라밀다고 심무가애
菩提薩唾 依般若波羅密多故 心無佳碍
무가애고 무유공포 원리전도몽상 구경열반
無佳碍故 無有恐怖 遠離顚倒夢想 究竟涅槃
삼세제불 의반야바라밀다고 득아뇩다라삼략삼보리
三世諸佛 依般若波羅密多故 得阿碌多羅三貌三菩提
(이것을 우리말로 쉽게 번역하면)
'얻을 것이 없으므로
보리살타(보살)은 반야바라밀에 의지하는 고로 마음에 가애가 없으며
가애가 없기 때문에 공포가 없어 전도몽상을 멀리 하고 열반을 구경하고
삼세제불도 반야바라밀에 의지하는 고로 아뇩다라 삼략삼보리를 얻는다'
이게 뭔 소리인지 상세히 알아보자. 역시 고승 현성스님 말씀을 들어보자.
공능분(功能分)
공능분(功能分)은 수행의 공덕으로 진리의 세계를 현정(顯正)하게 되는 부분이다.
앞에서 「무지역무득(無智亦無得)」을 해석할 때 「지혜도 없고, 열반을 성취할 것도 없고, 성취하지 못할 것도 없다」는 중도의 완성 단계에 왔음을 강의하였다. 지혜는 모든 상대적인 관계 즉, 지혜와 무지, 유와 무(有無), 상과 단(常斷)을 일단 부정하여(雙遮) 공(空)으로 가고, 공(空)을 다시 부정하여(不空) 재통합하면 서로 비추어서(雙照), 자발광이 드러난다.
이 자발광이 이 언덕에서 저 열반의 세계에 진입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반야」를 묘사한 것이고, 이 「반야」를「마하반야바라밀다」라고 한다고 「제 1장」에서 설명하였다. 지혜가 이와 같은 경지에 오르면 「열반을 얻을 것도, 얻지 못할 것도 없다」라고 할 것이며 「지혜도 있다 없다」할 것이 없는 즉, 집착이 끊어진 계위(階位)이라고 본다.
본 강의는 위와 같은 수행으로 「마하반야바라밀다」를 성취하였을 때 그 결과로 다음과 같은 이익이 얻어짐을 설명한다.
전환문구(轉換文句): 《얻을 것이 없는 까닭에》
셋째, 능관이익(能觀利益): 《보리살타는 반야바라밀다에 의지하였다. 그러하니 마음에 걸림이 없고 걸림이 없으므로 두려움이 없어지고 일체의 뒤바뀐 몽상을 아주 멀리 떠나 완전한 열반에 들어갔다. 삼세의 모든 부처님도 이 반야바라밀다를 의지하여 위없이 높고 바르고 두루한 큰 깨달음을 얻었느니라.》
1. 이무소득고
以無所得故
얻을 바가 없으므로(대전환 大轉換)
지금 「얻을 바가 없으므로」라고 한 이 부분은 앞을 받아 뒤를 일으키는 부분이다. 「얻을 바가 없으므로」란 앞의 「무지역무득(無智亦無得)」이 지혜도 없고 지혜가 다함도 없으니 절대 자유의 지혜요, 얻을 것이 없고 얻지 못할 것도 없는 절대 자유의 수행의 계위(階位)에 올랐음을 받아서, 뒤의 「결과로서 얻을 바」를 일으키는 것이다. 또 다르게 해석할 수도 있다.
위에서 배운 바와 같은 수행을 완성할 단계가 되어서 알고 보니,
원래 나에게 있었던 것이므로 새롭게 얻은 것이 아니므로 또 더「얻을 것이 없다」는 의미로도 해석될 수 있다.
즉, 얻을 것이 없는 것을 안, 덕(德)으로 얻어지는 소득(無所得之所得)은 아래와 같다는 의미이다.
수행에서 그 수행의 결과로 얻어지는 이익으로 대전환 (大轉換)하는 뜻으로,
「이무소득고 以無所得故」라고 하였다고 본다.
「무소득(無所得」에 관하여 <열반경>에서는 다음과 같이 술(述)하고 있다.
'소득이 없는 것이야말로 참 지혜'이니 보살이 이 지혜를 얻으므로 무소득이라 이름하는데, 이 무소득이 대열반이다. 보살이 무소득 가운데 편안히 머물러서 일체 제법의 성품이나 모양을 보지 않기 때문에 무소득이라 이름하여, 또한 무소득은 '대승보살이 제법에 머물지 않은 것'이라 이름하므로 '대승'이라 한다.
(無所得者 卽名爲慧 菩薩得是慧故 名無所得 叉無所得者 名大涅槃 菩薩安住大涅槃中 不見一切諸法性相 故名無所得 叉無所得者 名爲大乘菩薩不住諸法)
아무리 소득이 없는 소득(無所得之所得), 즉 지혜로 얻어지는 열반을 설명하여도 그것은 설명이고 이론일 따름이지 「지혜」또는 「열반」그 자체는 아니다.
그렇다고 생각을 끊고(絶思量) 말을 떠나(離言說) 다르게 설명할 수도 없는 것이다. 아무리 좋은 음식이 많이 있다고 설명하고 맛이 있고 영양가가 높다고 설명하여도 그것은 설명에 불과한 것이다.
내 밥을 내가 먹기 전에는 아무도 내 배를 부르게 하여 줄 수 있는 사람은 이 세상에 「나」이외는 아무도 없다.
그와 같이 「나의 지혜」「나의 열반」은 「나」이외는 아무도 대신하여 줄 수 없다. 그러므로 내 스스로 참회기도, 정근, 참선, 법문 등을 통하여 스스로 정진하지 않을 수 없다.
무소득이 소득(無所得之所得)임을 나타내는 게송 하나를 소개한다.
대주혜해(大珠慧海)선사가 처음에 마조(馬祖)를 뵈니, 마조께서 물어오셨다.
\" 어디서 오는가? \"
대주, 대답하시되, \" 월주 대운사에서 옵니다. \"
\" 그대는 여기까지 무엇하러 왔는가? \"
\" 저는 불법을 구하러 왔습니다. \"
대주가 간청을 하자 조사께서 곧 말씀을 하시었다.
\" 나는 그대에게 아무 것도 줄 것이 없네. 나에게 한 물건도 없고, 또 내한테 무슨 불법을 배울 수 있으리라고 생각하는가? 왜 그대는 자기 집의 보배는 돌보지 않고 멀리 떠나 방황하는가? \"
깜짝 놀란 대주는 물었다.
\" 저의 보배라니 무슨 말씀입니까? \"
곧 조사께서는 간절히 말씀하시었다.
\" 다른 사람이 아니라 내게 질문하는 바로 그 사람이 보배이지, 그 보배 안에 일체 모자람이 없이 다 갖추어 있네. 자네는 그것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원천은 마르지 않네. 구태여 밖에서 찾을 필요가 어디 있겠나? \"
말끝에 본심을 스스로 아는 것이지, 깨달음을 이해하는 것이 아님을 대주스님께서는 아시고 기뻐 뛰면서 절하고 물러났다.
[소원성취기도문] 칠성기도 순서, 예의, 산신용왕 산신천왕 미륵산신 산신장군 (3) | 2024.03.11 |
---|---|
[불교진언기도]정신업(正身業, vīrya-karma),정구(正口, vāk)업 진언 (0) | 2024.03.11 |
[소원성취불경]관세음보살,아미타불,금강경 (0) | 2024.03.03 |
[소원성취기도]천수경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 (0) | 2024.03.03 |
<소원성취기도문>군다리 근본진언 기도문"대승백부경"삼보금강주 -수자령천도기도도량 (0) | 2024.0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