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소원성취불교기도발원문]관세음보살 42수 진언 -(8) 가사수 (袈裟手)

기도문

by 수자령천도업장소멸 소원성취불교기도발원문 2024. 7. 15. 09:05

본문

반응형

[소원성취불교기도발원문]관세음보살 42수 진언 -(8) 가사수 (袈裟手)
[소원성취불교기도발원문]관세음보살 42수 진언 -(8) 가사수 (袈裟手)

(8) 가사수 (袈裟手)

진언: 옴 나모 갬까라야 스바하 (Om Namo Sanghaya Svaha)
해석: 가사를 입은 손으로, 불교의 가르침을 상징합니다. "나모 갬까라야"는 불교 공동체에 경의를 표하는 말이며, "스바하"는 그대로 이루어지기를 기원하는 말입니다.
가사수 진언 (袈裟手眞言): 불교의 가르침을 간직하고 실천하는 삶
진언: 옴 나모 갬까라야 스바하 (Om Namo Sanghaya Svaha)

해석:

옴 (Om): 모든 존재의 근본 진실을 상징하는 신성한 음절입니다. 명상과 진언의 시작을 알리는 역할을 합니다.
나모 (Namo): 존경하고 경의를 표하는 말입니다.
갬까라야 (Sanghaya): 불교 공동체, 승가를 의미합니다.
스바하 (Svaha): 소원성취를 기원하는 말입니다.
불교 경전에서의 근거:

관세음보살 42수 진언: 불교 경전 중 다양한 곳에서 가사수 진언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시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대비광진언경 (大悲廣眞言經): 관세음보살의 42수 진언 중 하나로 등장합니다.
불설관세음보살如意輪觀自在觀音菩薩如意輪眞言陀羅尼經 (佛說觀世音菩薩如意輪觀自在觀音菩薩如意輪眞言陀羅尼經): 관세음보살의 6수 진언 중 하나로 등장합니다.
관세음보살근본수보심대사비구경 (觀世音菩薩根本手補心大士祕呪經): 관세음보살의 36수 진언 중 하나로 등장합니다.
불교 공동체: 불교 공동체는 불법을 배우고 실천하며 함께 성장하는 중요한 공간입니다. 가사수 진언은 불교 공동체에 대한 존경과 감사를 표현하며, 공동체의 가르침을 따르겠다는 다짐을 담고 있습니다.

기적의 효험:

불교 가르침 이해: 불교의 가르침을 깊이 이해하고 실천하는 데 도움이 있다고 합니다.
지혜 향상: 명확한 판단력과 올바른 사고방식을 키워 줍니다.
마음의 평화: 불안과 번뇌를 극복하고 평온한 마음을 유지하도록 돕습니다.
공동체 의식 함양: 불교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책임감과 소속감을 느끼도록 합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